전공소개 및 특성
화학산업은 우리나라의 중추적인 산업이며, 석유화학, 고분자, 의약, 화장품, 무기화학, 엔지니어링 등 그 범위가 매우 넓다. 최근에는 국가의 핵심 산업분야인 IT산업(반도체, LCD 등 디스플레이 관련), NT산업(나노기술 관련), BT산업(생물 및 의약 관련), 그리고 에너지 산업(배터리, 연료전지, 태양광)의 분야에 이르기까지 화학공학이 중심 역할을 맡고 있다. 따라서 본 화학공학전공은 국가 기간산업의 원동력이며, 최근 다양하게 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우리나라 화학공업 분야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이론과 실습을 겸비한 화학공학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화공양론, 반응공학, 화공열역학, 공정유체역학, 열및물질전달, 공정제어 등의 기본과목은 물론 21세기 국가산업을 주도하고 인력 수요의 증가가 예상되는 정밀화공/공정분야, 화공재료/고분자공학, 촉매/에너지 분야 및 IT/BT 등의 첨단분야를 집중적으로 교육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실험과목과 프로젝트 수업을 통하여 실무적인 경험과 현장문제 해결능력을 배양하여 졸업 후에는 관련 기업체, 정부기관, 산업체 및 국공립 연구소, 교육계 등에서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목표
교육목표 I (기본소양)
- 화공엔지니어의 기본소양을 갖추고, 합리적 의사소통 능력 및 팀의 구성원으로 협동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I-I. 수학, 기초과학, 화학공학 전공 지식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능력
- I-Ⅱ. 구성원간에 합리적으로 의사소통하며 협동하여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
교육목표 Ⅱ (전공지식)
- II-I. 기초 및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화공엔지니어로서 화학공정의 해석 및 설계능력
교육목표 Ⅲ (실무능력)
- 화학공학 문제를 인식, 분석하여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과 산업현장 적응능력을 배양한다.
- III-I. 화학공학 분야 문제를 인식, 분석하여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 III-Ⅱ. 화학공학 분야의 실무기술을 겸비하여 산업현장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
교육목표 Ⅳ (직업윤리)
- Ⅳ-I. 건전한 직업윤리관을 바탕으로 사회발전에 공헌할 수 있는 자질과 국제적인 감각
연혁
2019.01. | 현재 학사 3,381명, 석사 321명, 박사 49명 배출 |
---|---|
2011.03. | 화학공학심화프로그램 공학교육인증 획득 (한국공학교육인증원) |
2009.03. | 화학공학심화프로그램 공학교육예비인증 획득 (한국공학교육인증원) |
2006.03. | 공과대학 화학공학과로 학과명 개칭 |
2005.03. | 공과대학 화공/신소재공학계열의 화학공학과로 학과명 개칭 |
2002.03. | 공과대학 화공/세라믹/환경생물공학계열의 화학공학과로 학과명 개칭 |
1999.03. | 공과대학 세라믹화학공학부 화학공학전공으로 개칭 |
1982.09. | 종합대학교로 승격 (학교의 계열별 캠퍼스 이원화 추진에 따라 용인캠퍼스로 이전) |
1979.12. | 박사과정 인가 |
1972.01. | 석사과정 인가 |
1966.12. | 4년제 화학공학과 설치 |
1963.09. | 명지대학교로 교명 개정 |
1962.02. | 명지대학교의 전신인 서울문리실과대학의 화학공업과 설립 |
교과과정
이수학점
심화프로그램 적용대상 : 2027년 2월 이전 졸업자 중 심화 및 일반프로그램 이수자
전공 | 교양 | 전공 | 자유 선택 |
총 학점 | 적용 대상자 | ||||
---|---|---|---|---|---|---|---|---|---|
공통 | 핵심 | 학문기초 | 일반 | 소계 | |||||
화학공학 | 15 | 12 | 30 | 0 | 57 | 70 | 7 | 134 | - 2015 ~ 2017학년도 입학생 |
일반과정 (비인증)* |
15 | 12 | 15 | 10 | 52 | 70 | 12 | 134 | |
화학공학 | 17 | 12 | 30 | 0 | 59 | 70 | 5 | 134 | - 2018학년도 이후 입학생 |
일반과정 (비인증)* |
17 | 12 | 15 | 10 | 54 | 70 | 10 | 134 |
일반과정은 심화프로그램 포기자로 전산에 일반프로그램으로 지정된 학생
심화프로그램 비적용대상 : 2027년 8월 이후 졸업자
전공 | 교양 | 전공 | 자유 선택 |
총 학점 | 적용 대상자 | ||||
---|---|---|---|---|---|---|---|---|---|
공통 | 핵심 | 학문기초 | 일반 | 소계 | |||||
화학공학 | 15 | 12 | 24 | 1 | 52 | 70 | 12 | 134 | - 2015 ~ 2017학년도 입학생 |
17 | 12 | 24 | 1 | 54 | 70 | 10 | 134 | - 2018학년도 이후 입학생 |
학문기초교양 이수학점 및 교과목
전공 | 학문기초교양 이수학점 |
필수 이수 교과목 | 적용대상자 |
---|---|---|---|
화학공학 | 30 | 미적분학1(3), 미적분학2(3), 공학수학1(3), 물리학1(3), 물리학실험1(1), 화학1(3), 화학2(3), 화학실험1(1), 화학실험2(1), C언어(3), [통계학개론 / 공학수학2] 중 택1 (3) [물리학2 / 일반생물학] 중 택1 (3) |
- 2027년 2월 졸업생까지 적용 [심화프로그램 이수자] |
24 | 미적분학1(3), 미적분학2(3), 공학수학1(3), 화학1(3), 화학2(3), 화학실험1(1), 화학실험2(1), 물리학1(3), 물리학실험1(1), 일반생물학(3) |
- 2027년 8월 졸업생부터 적용 |
일반프로그램 이수자: 학문기초교양 학점은 15학점
전공필수 이수학점 및 교과목
전공 | 전공필수 이수학점 |
필수 이수 교과목 | 적용대상자 |
---|---|---|---|
화학공학 | 35 | 화학공학개론(2), 공학입문설계(3), 물리화학(3), 화공양론(3), 화공양론2(3), 유기화학(3), 열역학(3), 화학반응공학(3), 공정유체역학(3), 열및물질전달(3), 캡스톤디자인1(3), 캡스톤디자인2(3) |
- 2027년 2월 졸업생까지 적용 [심화프로그램 이수자] |
26 | 화학공학개론(2), 화공양론(3), 화공인공지능(3), 유기화학(3), 열역학(3), 물리화학(3), 공정유체역학(3), 열및물질전달(3), 화학반응공학(3) |
- 2027년 8월 졸업생부터 적용 (전입생 및 편입생 포함) |
스마트시스템공과대학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 유효기간은 2027.2.28.까지 유지 후 종료
- 2027년 2월 이전 졸업대상자 중 공학교육인증 이수자 이수학점 및 관련 교과목은 공학교육혁신센터로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