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외교학과
학과소개
- 교과과목
-
정치학의 학문적 성격과 역사적 변천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의 철학적 기초가 되는 전반적 흐름을 연구근대는 '정치'와 '국가'라는 개념의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온 시기이다. 이러한 시기의 정치학의 핵심적인 제문제에 대한 사상사적 변천을 논함으로서, 정치학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증진비교정치의 이론체계를 개괄적으로 연구, 나아가 국가들간의 또는 한 국가의 시대간 정치현상을 비교 분석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접근방식을 연구국제정치는 국제정치행위자 이른바 주권국가들의 국가이익이 수반하는 상호작용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우호관계와 적대관계, 전쟁과 평화를 포함한 갈등·경쟁·협조라고 하는 내용을 서술하거나 설명하는데 그치지 않고 적용가능한 이론(theory)의 정립을 추구한국정치의 전개와 현상을 다각적인 접근방법으로 재검토하고 다른 사례와는 구분되는 한국적 특수성을 설명고대에서 중세에 이르는 시기는 정치학이 사상사적으로 태동, 전개되어 그 학문적 모습을 점차 갖추기 시작한 시기로서, 이러한 시기의 사상들의 발생 및 본질 그리고 그 전개과정을 논함으로서 정치학의 변천과정을 심도 있게 이해현대 정치 이론, 그중 특히 롤스와 라즈로 대표되는 자유주의 이론과 포스트모더니즘 논쟁을 중점적으로 연구, 산업사회에서 후기 산업사회로의 이행에서 비롯되는 제반 정치, 사회문제를 연구“정의”는 정치, 또는 정치학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어지는 용어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정의”라는 용어의 사상사적 고찰을 통해, 정치의 속성을 이해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동양정치사상의 발생과 본질 및 발전과정을 연구하여 “정치적이라는 의미의 동양적 특수성”과 “정치적 의미의 보편성”을 탐구고대로부터 현대의 “민중신학”에 이르기 까지의 한국정치사상의 사상사적 변천을 논함으로서, 한국 특유의 역사적 상황과 그러한 상황하에서 나타난 “한국정치사상”의 본질을 이해동·서 냉전체제가 무너지고 난 이후, 유럽을 비롯한 세계에서 대두되고 있는 민족주의를 이해하기 위해서, 민족주의의 개념, 발생, 그 변천과정을 연구함으로서 앞으로의 민족주의 전개과정을 예측현대의 모든 국가는 그들의 정체적 특징을 “민주주의”라는 이름으로 표현하고 있다. 본 강좌는 이러한 “민주주의”라는 개념을 사상사적으로 중점 연구함으로서, “민주주의”개념의 다양성과, 현대 사회에서 필연적으로 대두될수 밖에 없는 “민주주의의 한계”에 대한 이해를 심화자본주의의 안티 테제로서, 자본주의의 본격적 대두시기인 근대이후 발전한 사회주의 사상은 수많은 논쟁들에 의해 이론적으로 성숙되어 왔다. 본 강좌는 이러한 논쟁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사상의 변천을 연구, 사회주의 사상에 대한 이해를 심화통상적으로 사회주의 사상의 대표로 여겨지는 “과학적 사회주의”의 선구, 마르크스의 사상을 연구함으로서, 그 이후 나타나게 되는 마르크시슴적 사상을 이해정치의 핵심적 개념인 국가의 발생, 그리고 그 변천과정을 역사적·이론적으로 논함으로서 현재 대두되고 있는 “세계화와 현대 국가의 역할”이라는 명제에 대한 연구현대 사회에서 가장 비중있는 분야중의 하나인 문화예술이 갖는 정치사상사적 의미와 정치적 영향력을 연구함과 동시에, 문학작품이 갖는 사상적 의미를 논함으로서, 정치사상의 미개척 분야인 문화 예술과 정치의 상호적 의미를 연구민주국가에서 정치의 투입과정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경로를 통하여 이루어지는지에 대하여 각국의 정치과정에 관한 비교분석 및 연구각국 정치체제의 문화적 특성과 이에 대한 경험적 조사 결과를 비교분석정치사회화의 개념 및 각국의 상이한 정치사회화 과정의 변화 내용과 방법 및 제도를 연구현대정치현상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개인들의 정치적 태도 및 행위 등이 어떠한 방식으로 결정되고 어떻게 변화하는지 등에 관하여 심층적으로 분석 및 연구정치엘리트의 속성, 충원과정, 내부구조 및 사회변화에 따른 정치엘리트의 변화에 관한 심도있는 비교연구현대 정당의 생성 및 변화과정, 그리고 정당의 기능과 지지기반에 대한 이론과 각국의 정당체계를 비교분석 및 연구선거제도 및 투표행태 등에 관한 다양한 이론과 각국의 선거제도 및 행태를 비교분석사회구조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정치학 및 사회학의 거시적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정치현상을 설명하고 연구투표, 리더십 등 정치적 의사결정을 포함한 정치행태에 대한 심리적 차원의 분석으로 심리적 기제의 작동원리에 대한 연구혁명을 설명하는 여러 이론과 실제를 그 원인, 과정, 이데올로기의 성격을 중심으로 비교 연구미국 민주주의 체제의 이념, 정치제도, 정치 문화, 정치과정 등을 연구 분석영국, 불란서, 독일, 이태리 등의 정치적 기초, 정치 문화, 정치제도, 정치과정 등을 연구 검토최근 민주화된 체코, 폴란드, 헝가리 등 중구라파지역의 정치적 변동에 관한 비교 연구일본 정치체제의 특성, 정치제도, 정치 문화, 정치과정 등을 연구 검토볼셰비키 혁명 이후 러시아의 정치를 이념, 제도, 업적 등의 여러 측면에서 검토하고 그 변천 과정을 연구1949년 공산당 정권 출범 이후 중국 정치체제의 특성, 제도, 그리고 핵심적 정치 구조간의 관계 등을 연구현대 국가로 가는 정치 발전 과정에서 극복해야 할 정치, 경제, 사회적 위기와 문제점등을 주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혁명, 민주화등 정치체제의 변동에 관련된 주제를 이론과 실제를 연관시켜 검토 비교정치 현상과 경제 현상의 상관성과 그 한계성을 규명하는 제 이론을 비교 연구미래학은 사회적 또는 세계적 차원에서 가능한 미래를 예측하여 최선의 선택을 하고, 그러한 미래가 전개될 수 있도록 자원동원 및 성원들의 노력을 극대화해 나가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미래학은 과거와 현재의 일반화된 추세를 찾아내어 예측의 수준과 질을 높이며, 예기치 못한 돌발사태에 대응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하고, 성원들 의 창의력과 사고의 틀을 갖게 하며, 바람직한 대안적 미래를 제시국제기구 구성국가들의 안보·경제·사회 및 기타 영역의 상호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 이른바 각국 정부간의 협력에 의한 공식적 또는 정부간 국제기구와 개인 또는 민간의 사적 집단간에 형성되는 비정부간 국제기구 등을 연구국제정치경제론이란 국제정치의 주요변수인 국가의 경제활동과 경제행위가 국제정치활동과 국제정치행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바, 이 양자의 학문적 연구는 동일시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강좌는 정치·경제적 자원의 분배를 중점적으로 연구냉전의 종식과 동시에 새로운 국제질서가 창출된 이른바 탈냉전의 국제관계는 구미지역 중심의 국제관계에서 아시아·태평양 중심의 국제관계로 변모하였다. 다시 말하면 냉전의 양극체계적 국제관계가 탈냉전의 다극체계적 국제관계로 변모하여 힘의 논리에 입각한 국제관계는 경제적 상호의존의 국제관계로 전위되었던 바, 본 강좌는 이와 같은 국제관계의 중심지역인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전개되고 있는 국제정치관계현상을 연구외교정책이란 군사·경제·문화를 포함한 포괄적인 주권국가의 대외정치와 정책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강좌는 현국제정치의 주역들 이른바 강대국들의 외교정책을 과거·현재·미래의 정책기조와 정책방향을 비교적 차원에서 분석현재의 미국외교정책에는 다음과 같은 5가지 목표가 있다. 즉, 첫째, 러시아를 민주화된 통합유럽에 편입시키고 통합된 유럽을 건설한다. 둘째, 동아시아 국가와의 외교적 가교를 구축한다. 셋째, 마약·테러·적성국가 외교환경등 새로운 안보위협에 대처한다. 넷째, 미국의 이익과 가치가 관련되어 있는 지역의 평화에 기여할 국가라는 인식을 수립한다. 다섯째, 세계경제구축을 통한 미국내 고용을 창출한다 등이다. 본 강좌는 이러한 미국의 외교정책을 연구본 강좌는 일본외교정책의 기조, 이른바 다음과 같은 외교정책의 일반원칙을 분석하는데 있다. 즉, 첫째, 미·일안보협력의 강화, 둘째, UN등 국제협력의 강화, 셋째, 자위대의 방위능력 강화, 넷째, 군사력 증강계획, 다섯째, 비핵3원칙 고수, 여섯째, 해로의 방위강화 등을 연구러시아의 외교정책기조는 첫째, 아시아진출과 둘째, 미·일·중 3각관계의 패권주의 견제 및 반대, 셋째, 미국 중심의 NATO 동방팽창주의 반대 등으로 요약될 수 있는 바, 본 강좌는 이를 세분하여 구체적으로 분석본 강좌는 첫째, 중국 외교정책의 새로운 국제환경 변화, 둘째, 탈냉전의 대러시아·미국·일본 정책, 셋째, 중국의 반패권정책과 한반도, 넷째, 중·일 평화조약과 동북아시아의 세력균형상태, 다섯째, 1980년대 이후의 중국의 자주외교정책 등을 분석본 강좌는 현재까지 국제정치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문제인 전쟁과 평화에 관한 사상을 논함으로써 인류사회의 미래에 관한 방향을 분석지역통합이란 같은 지리적 구역에 위치하며 공동관심사를 가지고 있는 국가들은 정치적·군사적·경제적 문제들에 대처하기 위해 회원자격이 제한된 조직을 통해서 상호협력 및 협동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강좌는 이와 같은 개념에 입각하여 현재 지역통합이 진행과정에 있는 예컨데, EU, NAFTA, WTO, APEC, ASEAN, NEAS, OAS 등을 통합이론에 입각하여 과거·현재·미래 등을 평가 전망근대사에 있어서 동양 각국 특히 한국, 중국, 일본 등이 서양각국으로부터 역사적으로 받은 영향과 국제정치와 국제관계를 분석하고 각국의 국제활동 행태를 도출하며, 국제정치의 이론적 생성과정 및 배경 등을 실증적, 객관적으로 분석외교사는 각국의 국제정치의 배경사로서 국가가 국제사회에서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하며, 쇠퇴하였는가의 역사적 과정을 실증적, 객관적인 연구를 통하여 세계사적 진실을 제시하고, 국제사회에서 국가의 생존방식 혹은 운동법칙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본 강좌는 유럽외교사의 최초의 국제회의이자 근대유럽외교사의 개막이라 할 수 있는 웨스트팔리아회의(1645-48)에서부터 시작하여 제2차대전의 종결에 이르는 약 300년의 외교사를 연구근대적 의미에서 한국의 외교사는 일반적으로 고종시대의 개국외교로부터 시작된다. 한국의 개국외교는 상대국의 정책과 제3국의 주선에 의하여 이루어졌기 때문에 주체적 외교정책이 부재하였다. 이러한 주체적 외교의 부재로 말미암아 청일전쟁, 일러전쟁 및 한일합방 등을 거쳐 일본제국주의의 식민지 국가로 전락하였다. 본 강좌는 1800-1945년에 이르는 약 150년간의 외교사, 즉 이 기간 동안 한국의 국제정치, 외교능력, 그리고 국제적 위기에 대한 대응방안 등을 연구개화기 이후 해방 전까지 한국정치를 근대적 의미의 국가수립을 위한 투쟁 및 변화의 관점에서 연구현대한국정치를 정당, 의회 등 제도적 장치와 시위 등 비제도적 과정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정치과정에 상호 작용하는 개인, 집단, 제도 등의 속성을 연구한국의회의 제도적 측면과 운용에 대해 검토하고 엘리트 충원 기능으로서의 의회제도 및 의원들의 특질 및 정치-경제-사회적 배경 등에 관해 연구사적 접근을 통해 한국정당정치의 변화 및 발전을 연구하고 정당의 본질적 의미와 대비되는 한국적 특수성을 검토한국선거의 제도, 절차와 투표행태, 결과, 정치적 의미를 분석하고 정치발전에 선거가 미친 영향 및 차지하고 있는 위치를 연구파행과 굴절의 현대한국정치의 변동과정을 분단구조 및 근대화 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정치변동의 일반성과 특수성을 연구현대한국정치의 전개와 변동을 자본주의 발전 및 근대화 추진과정을 중심으로 분석분단 및 남북대결 구조 속에서 한국외교정책의 기조와 변화 및 대외관계를 분석정권수립 후 북한외교의 전개과정과 정책변화를 남북대결구조와 체제발전전략 차원에서 분석하며 냉전체제 종식 및 사회주의권 해체 이후 생존전략으로서의 북한외교를 검토북한체제를 권력획득 및 유지과정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남북관계에 대한 제이론을 집중적으로 연구남북한 관계는 군사적 대립에서 정치경제적 경쟁으로 이전되는 전환기에 있으며, 한반도 통일에 대한 국제환경은 남북한간의 대화를 촉구하고 있다. 한반도 통일정책을 현실화하기 위하여 본 강좌는 첫째, 대북한정책과 대미안보정책, 둘째, 국내에서는 국민적 합의 재확인, 셋째, 국외에서는 북한, 중·러 및 미·일이 지원할 수 있는 전략과 방안을 강구사회계약에 관한 사상은 “현실의 학문”이라는 측면에서의 정치학을 한 단계 발전시켰다. 본 강좌는 계약, 사회 계약, 지배계약, 이 세 가지 용어의 사상사적 고찰을 통해, 이러한 사회계약론이 갖는 정치적 의미를 정확히 파악프랑크푸르트 학파 이후 많은 이론들은 산업사회와 후기 산업사회의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있다. 그 중 특히 산업사회와 후기 산업사회의 구조적 산물인 환경문제를 다루는 “환경사상”은 현대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본 강좌는 이러한 “환경사상”을 중심으로, 환경과 현재의 정치구조에 대한 문제를 논의, 그 이해를 증진비교정치학 영역에서 특정의 주제를 선정하여 이를 심층적으로 토론 및 연구민주화 및 시민사회의 활성화에 따라 중요한 영역으로 부각되고 있는 정치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이론을 검토현대 국제정치는 힘에 의존하는 국제정치와 교역에 의존하는 상호의존론적 국제정치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본 강좌에서는 힘에 의존하는 국제정치 이른바 힘의 균형의 유형과 집단안전보장의 유형 그리고 힘의 독점형을 연구하며, 상호의존론적 국제정치에서는 국제 정치·경제관계를 연구하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이론의 틀을 제시하면서 현재의 국제환경에서 나타나고 있는 사례를 중심으로 토의한국정치를 이승만 정부에서부터 노무현 정부에 이르기까지를 제도의 민주화와 국정의 효율성 측면으로 나누어서 각 정부별로 비교, 분석 해보는 것이 본 과목의 목적임.유럽연합 정치기구와 유럽연합의 통합과정을 설명하는 제반 이론에 대한 논의가 본 과정의 주된 목적임. 이를 위해 유럽 이사회,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의회, 사법 재판소 등 다양한 유럽연합 내의 기구들의 생성 및 발전 과정에 대한 고찰을 할 뿐만 아니라 신제도주의, 신기능주의, 자유주의적 정부관계주의 이론 등 다양한 제반이론을 심도 있게 연구함.유럽연합이 경제통합체란 명칭에 걸맞게 유럽연합 통치(governance)의 실제 축이 되는 다양한 정책의 기원과 현재 주소를 고찰함. 이를 위해 공동농업정책, 무역정책, 단일통화, 유럽단일시장 등과 같은 경제적 정책에 대한 고찰뿐만 아니라 공동외교안보 정책 등과 같은 비 경제적 정책에 대한 폭넓은 시각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함.북한의 핵개발이 북한의 국내정치와 국제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특히 북한핵정치가 한반도 및 동북아의 평화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연구하고, 한반도평화와 동북아평화를 위해 한국의 대응전략 및 적실성 높은 대북정책을 개발하는데 목표를 둔다.해방 이후 최근까지 분단과 근대화 추진 속의 현대한국정치에 대한 사적 고찰 및 연구한국의 정치문화 및 정치사회화 과정에 대한 경험적 조사를 중심으로 주요 특질을 검토
교과코드 교과목명(국문) 교과목명(영문) 학점 과목개요 정외 1601 정치학방법론 (Research Methodology in Political Science II) 정치학의 학문적 성격과 역사적 변천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의 철학적 기초가 되는 전반적 흐름을 연구 정외 1602 근대정치사상 (Modern Western Political Thoughts) 근대는 '정치'와 '국가'라는 개념의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온 시기이다. 이러한 시기의 정치학의 핵심적인 제문제에 대한 사상사적 변천을 논함으로서, 정치학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증진 정외 1603 비교정치이론 (Theories of Comparative Politics) 비교정치의 이론체계를 개괄적으로 연구, 나아가 국가들간의 또는 한 국가의 시대간 정치현상을 비교 분석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접근방식을 연구 정외 1604 국제정치이론 (Theories of international Politics) 국제정치는 국제정치행위자 이른바 주권국가들의 국가이익이 수반하는 상호작용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우호관계와 적대관계, 전쟁과 평화를 포함한 갈등·경쟁·협조라고 하는 내용을 서술하거나 설명하는데 그치지 않고 적용가능한 이론(theory)의 정립을 추구 정외 1605 한국정치론 (Theories of Korean Politics) 한국정치의 전개와 현상을 다각적인 접근방법으로 재검토하고 다른 사례와는 구분되는 한국적 특수성을 설명 정외 1701 고대·중세 정치사상 (Ancient and Medieval Western Political Thoughts) 고대에서 중세에 이르는 시기는 정치학이 사상사적으로 태동, 전개되어 그 학문적 모습을 점차 갖추기 시작한 시기로서, 이러한 시기의 사상들의 발생 및 본질 그리고 그 전개과정을 논함으로서 정치학의 변천과정을 심도 있게 이해 정외 1702 현대정치사상 (Contemporary Political Thoughts) 현대 정치 이론, 그중 특히 롤스와 라즈로 대표되는 자유주의 이론과 포스트모더니즘 논쟁을 중점적으로 연구, 산업사회에서 후기 산업사회로의 이행에서 비롯되는 제반 정치, 사회문제를 연구 정외 1703 사회정의론연구 (Colloquium on Social Justice) “정의”는 정치, 또는 정치학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어지는 용어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정의”라는 용어의 사상사적 고찰을 통해, 정치의 속성을 이해 정외 1705 동양정치사상 (Oriental Political Thoughts)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동양정치사상의 발생과 본질 및 발전과정을 연구하여 “정치적이라는 의미의 동양적 특수성”과 “정치적 의미의 보편성”을 탐구 정외 1706 한국정치사상 (Korean Political Thoughts) 고대로부터 현대의 “민중신학”에 이르기 까지의 한국정치사상의 사상사적 변천을 논함으로서, 한국 특유의 역사적 상황과 그러한 상황하에서 나타난 “한국정치사상”의 본질을 이해 정외 1707 민족주의론 (Nationalism) 동·서 냉전체제가 무너지고 난 이후, 유럽을 비롯한 세계에서 대두되고 있는 민족주의를 이해하기 위해서, 민족주의의 개념, 발생, 그 변천과정을 연구함으로서 앞으로의 민족주의 전개과정을 예측 정외 1708 민주주의정치사상사 (History of Democratic Political Thoughts) 현대의 모든 국가는 그들의 정체적 특징을 “민주주의”라는 이름으로 표현하고 있다. 본 강좌는 이러한 “민주주의”라는 개념을 사상사적으로 중점 연구함으로서, “민주주의”개념의 다양성과, 현대 사회에서 필연적으로 대두될수 밖에 없는 “민주주의의 한계”에 대한 이해를 심화 정외 1709 근대좌파논쟁사 (History of Modern Leftist Debates) 자본주의의 안티 테제로서, 자본주의의 본격적 대두시기인 근대이후 발전한 사회주의 사상은 수많은 논쟁들에 의해 이론적으로 성숙되어 왔다. 본 강좌는 이러한 논쟁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사상의 변천을 연구, 사회주의 사상에 대한 이해를 심화 정외 1710 마르크스사상연구 (Study on Marxist Thoughts) 통상적으로 사회주의 사상의 대표로 여겨지는 “과학적 사회주의”의 선구, 마르크스의 사상을 연구함으로서, 그 이후 나타나게 되는 마르크시슴적 사상을 이해 정외 1712 국가론 (Theory of State) 정치의 핵심적 개념인 국가의 발생, 그리고 그 변천과정을 역사적·이론적으로 논함으로서 현재 대두되고 있는 “세계화와 현대 국가의 역할”이라는 명제에 대한 연구 정외 1713 정치와 문화 예술 (Seminar on Politics, Culture and Art) 현대 사회에서 가장 비중있는 분야중의 하나인 문화예술이 갖는 정치사상사적 의미와 정치적 영향력을 연구함과 동시에, 문학작품이 갖는 사상적 의미를 논함으로서, 정치사상의 미개척 분야인 문화 예술과 정치의 상호적 의미를 연구 정외 1722 비교정치과정론 (Comparative Political Process) 민주국가에서 정치의 투입과정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경로를 통하여 이루어지는지에 대하여 각국의 정치과정에 관한 비교분석 및 연구 정외 1723 정치문화론 (Political Culture) 각국 정치체제의 문화적 특성과 이에 대한 경험적 조사 결과를 비교분석 정외 1724 정치사회화론 (Political Socialization) 정치사회화의 개념 및 각국의 상이한 정치사회화 과정의 변화 내용과 방법 및 제도를 연구 정외 1726 정치행태론 (Political Behavior) 현대정치현상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개인들의 정치적 태도 및 행위 등이 어떠한 방식으로 결정되고 어떻게 변화하는지 등에 관하여 심층적으로 분석 및 연구 정외 1727 정치엘리트론 (Political Elites) 정치엘리트의 속성, 충원과정, 내부구조 및 사회변화에 따른 정치엘리트의 변화에 관한 심도있는 비교연구 정외 1728 정당론 (Political Parties) 현대 정당의 생성 및 변화과정, 그리고 정당의 기능과 지지기반에 대한 이론과 각국의 정당체계를 비교분석 및 연구 정외 1729 선거론 (Elections) 선거제도 및 투표행태 등에 관한 다양한 이론과 각국의 선거제도 및 행태를 비교분석 정외 1730 정치사회학 (Political Sociology) 사회구조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정치학 및 사회학의 거시적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정치현상을 설명하고 연구 정외 1731 정치심리학 (Political Psychology) 투표, 리더십 등 정치적 의사결정을 포함한 정치행태에 대한 심리적 차원의 분석으로 심리적 기제의 작동원리에 대한 연구 정외 1732 혁명론 (Study on Revolution) 혁명을 설명하는 여러 이론과 실제를 그 원인, 과정, 이데올로기의 성격을 중심으로 비교 연구 정외 1733 미국정치론 (Government and Politics of America) 미국 민주주의 체제의 이념, 정치제도, 정치 문화, 정치과정 등을 연구 분석 정외 1734 서구정치론 (Government and Politics of Western Europe) 영국, 불란서, 독일, 이태리 등의 정치적 기초, 정치 문화, 정치제도, 정치과정 등을 연구 검토 정외 1735 중구정치론 (Government and Politics of Central Europe) 최근 민주화된 체코, 폴란드, 헝가리 등 중구라파지역의 정치적 변동에 관한 비교 연구 정외 1736 일본정치론 (Government and Politics of Japan) 일본 정치체제의 특성, 정치제도, 정치 문화, 정치과정 등을 연구 검토 정외 1737 러시아정치론 (Government and Politics of Russia) 볼셰비키 혁명 이후 러시아의 정치를 이념, 제도, 업적 등의 여러 측면에서 검토하고 그 변천 과정을 연구 정외 1738 중국정치론 (Government and Politics of China) 1949년 공산당 정권 출범 이후 중국 정치체제의 특성, 제도, 그리고 핵심적 정치 구조간의 관계 등을 연구 정외 1739 근대화정치론 (Developmental Politics) 현대 국가로 가는 정치 발전 과정에서 극복해야 할 정치, 경제, 사회적 위기와 문제점등을 주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 정외 1740 정치변동론 (Political Change) 혁명, 민주화등 정치체제의 변동에 관련된 주제를 이론과 실제를 연관시켜 검토 비교 정외 1741 정치경제론 (Theories of Political Economy) 정치 현상과 경제 현상의 상관성과 그 한계성을 규명하는 제 이론을 비교 연구 정외 1742 미래학 (Futurology) 미래학은 사회적 또는 세계적 차원에서 가능한 미래를 예측하여 최선의 선택을 하고, 그러한 미래가 전개될 수 있도록 자원동원 및 성원들의 노력을 극대화해 나가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미래학은 과거와 현재의 일반화된 추세를 찾아내어 예측의 수준과 질을 높이며, 예기치 못한 돌발사태에 대응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하고, 성원들 의 창의력과 사고의 틀을 갖게 하며, 바람직한 대안적 미래를 제시 정외 1752 국제기구론 (International Organizations) 국제기구 구성국가들의 안보·경제·사회 및 기타 영역의 상호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 이른바 각국 정부간의 협력에 의한 공식적 또는 정부간 국제기구와 개인 또는 민간의 사적 집단간에 형성되는 비정부간 국제기구 등을 연구 정외 1753 국제정치경제론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국제정치경제론이란 국제정치의 주요변수인 국가의 경제활동과 경제행위가 국제정치활동과 국제정치행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바, 이 양자의 학문적 연구는 동일시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강좌는 정치·경제적 자원의 분배를 중점적으로 연구 정외 1754 아·태 국제관계론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Asia-Pacific Area) 냉전의 종식과 동시에 새로운 국제질서가 창출된 이른바 탈냉전의 국제관계는 구미지역 중심의 국제관계에서 아시아·태평양 중심의 국제관계로 변모하였다. 다시 말하면 냉전의 양극체계적 국제관계가 탈냉전의 다극체계적 국제관계로 변모하여 힘의 논리에 입각한 국제관계는 경제적 상호의존의 국제관계로 전위되었던 바, 본 강좌는 이와 같은 국제관계의 중심지역인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전개되고 있는 국제정치관계현상을 연구 정외 1755 비교외교정책론 (Comparative Foreign Policy) 외교정책이란 군사·경제·문화를 포함한 포괄적인 주권국가의 대외정치와 정책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강좌는 현국제정치의 주역들 이른바 강대국들의 외교정책을 과거·현재·미래의 정책기조와 정책방향을 비교적 차원에서 분석 정외 1756 미국외교정책연구 (American Foreign Policy) 현재의 미국외교정책에는 다음과 같은 5가지 목표가 있다. 즉, 첫째, 러시아를 민주화된 통합유럽에 편입시키고 통합된 유럽을 건설한다. 둘째, 동아시아 국가와의 외교적 가교를 구축한다. 셋째, 마약·테러·적성국가 외교환경등 새로운 안보위협에 대처한다. 넷째, 미국의 이익과 가치가 관련되어 있는 지역의 평화에 기여할 국가라는 인식을 수립한다. 다섯째, 세계경제구축을 통한 미국내 고용을 창출한다 등이다. 본 강좌는 이러한 미국의 외교정책을 연구 정외 1757 일본외교정책연구 (Japanese Foreign Policy) 본 강좌는 일본외교정책의 기조, 이른바 다음과 같은 외교정책의 일반원칙을 분석하는데 있다. 즉, 첫째, 미·일안보협력의 강화, 둘째, UN등 국제협력의 강화, 셋째, 자위대의 방위능력 강화, 넷째, 군사력 증강계획, 다섯째, 비핵3원칙 고수, 여섯째, 해로의 방위강화 등을 연구 정외 1758 러시아외교정책연구 (Russian Foreign Policy) 러시아의 외교정책기조는 첫째, 아시아진출과 둘째, 미·일·중 3각관계의 패권주의 견제 및 반대, 셋째, 미국 중심의 NATO 동방팽창주의 반대 등으로 요약될 수 있는 바, 본 강좌는 이를 세분하여 구체적으로 분석 정외 1759 중국외교정책연구 (Chinese Russian Foreign Policy) 본 강좌는 첫째, 중국 외교정책의 새로운 국제환경 변화, 둘째, 탈냉전의 대러시아·미국·일본 정책, 셋째, 중국의 반패권정책과 한반도, 넷째, 중·일 평화조약과 동북아시아의 세력균형상태, 다섯째, 1980년대 이후의 중국의 자주외교정책 등을 분석 정외 1760 평화론 (Peace Theory) 본 강좌는 현재까지 국제정치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문제인 전쟁과 평화에 관한 사상을 논함으로써 인류사회의 미래에 관한 방향을 분석 정외 1761 지역통합연구 (Regional Integration) 지역통합이란 같은 지리적 구역에 위치하며 공동관심사를 가지고 있는 국가들은 정치적·군사적·경제적 문제들에 대처하기 위해 회원자격이 제한된 조직을 통해서 상호협력 및 협동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강좌는 이와 같은 개념에 입각하여 현재 지역통합이 진행과정에 있는 예컨데, EU, NAFTA, WTO, APEC, ASEAN, NEAS, OAS 등을 통합이론에 입각하여 과거·현재·미래 등을 평가 전망 정외 1762 동양외교사 (History of Oriental Diplomacy) 근대사에 있어서 동양 각국 특히 한국, 중국, 일본 등이 서양각국으로부터 역사적으로 받은 영향과 국제정치와 국제관계를 분석하고 각국의 국제활동 행태를 도출하며, 국제정치의 이론적 생성과정 및 배경 등을 실증적, 객관적으로 분석 정외 1763 서양외교사 (History of Western Diplomacy) 외교사는 각국의 국제정치의 배경사로서 국가가 국제사회에서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하며, 쇠퇴하였는가의 역사적 과정을 실증적, 객관적인 연구를 통하여 세계사적 진실을 제시하고, 국제사회에서 국가의 생존방식 혹은 운동법칙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본 강좌는 유럽외교사의 최초의 국제회의이자 근대유럽외교사의 개막이라 할 수 있는 웨스트팔리아회의(1645-48)에서부터 시작하여 제2차대전의 종결에 이르는 약 300년의 외교사를 연구 정외 1764 한국외교사 (History of Korean Diplomacy) 근대적 의미에서 한국의 외교사는 일반적으로 고종시대의 개국외교로부터 시작된다. 한국의 개국외교는 상대국의 정책과 제3국의 주선에 의하여 이루어졌기 때문에 주체적 외교정책이 부재하였다. 이러한 주체적 외교의 부재로 말미암아 청일전쟁, 일러전쟁 및 한일합방 등을 거쳐 일본제국주의의 식민지 국가로 전락하였다. 본 강좌는 1800-1945년에 이르는 약 150년간의 외교사, 즉 이 기간 동안 한국의 국제정치, 외교능력, 그리고 국제적 위기에 대한 대응방안 등을 연구 정외 1771 근대한국정치사 (Modern Korean Political History) 개화기 이후 해방 전까지 한국정치를 근대적 의미의 국가수립을 위한 투쟁 및 변화의 관점에서 연구 정외 1774 한국정치과정론 (Political Process in Korea) 현대한국정치를 정당, 의회 등 제도적 장치와 시위 등 비제도적 과정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정치과정에 상호 작용하는 개인, 집단, 제도 등의 속성을 연구 정외 1775 한국의회정치론 (Legislative Process in Korea) 한국의회의 제도적 측면과 운용에 대해 검토하고 엘리트 충원 기능으로서의 의회제도 및 의원들의 특질 및 정치-경제-사회적 배경 등에 관해 연구 정외 1776 한국정당정치론 (Political Parties in Korea) 사적 접근을 통해 한국정당정치의 변화 및 발전을 연구하고 정당의 본질적 의미와 대비되는 한국적 특수성을 검토 정외 1777 한국선거정치론 (Electoral Politics in Korea) 한국선거의 제도, 절차와 투표행태, 결과, 정치적 의미를 분석하고 정치발전에 선거가 미친 영향 및 차지하고 있는 위치를 연구 정외 1778 한국정치변동론 (Political Change in Korea) 파행과 굴절의 현대한국정치의 변동과정을 분단구조 및 근대화 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정치변동의 일반성과 특수성을 연구 정외 1779 한국정치경제론 (Political Economy in Korea) 현대한국정치의 전개와 변동을 자본주의 발전 및 근대화 추진과정을 중심으로 분석 정외 1780 한국외교정책연구 (Study on Korea's Foreign Policy) 분단 및 남북대결 구조 속에서 한국외교정책의 기조와 변화 및 대외관계를 분석 정외 1781 북한외교정책연구 (Study on North Korea's Foreign Policy) 정권수립 후 북한외교의 전개과정과 정책변화를 남북대결구조와 체제발전전략 차원에서 분석하며 냉전체제 종식 및 사회주의권 해체 이후 생존전략으로서의 북한외교를 검토 정외 1782 북한정치론 (North Korean Politics) 북한체제를 권력획득 및 유지과정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남북관계에 대한 제이론을 집중적으로 연구 정외 1783 한반도통일정책연구 (Unification Policy on the Korean Peninsula) 남북한 관계는 군사적 대립에서 정치경제적 경쟁으로 이전되는 전환기에 있으며, 한반도 통일에 대한 국제환경은 남북한간의 대화를 촉구하고 있다. 한반도 통일정책을 현실화하기 위하여 본 강좌는 첫째, 대북한정책과 대미안보정책, 둘째, 국내에서는 국민적 합의 재확인, 셋째, 국외에서는 북한, 중·러 및 미·일이 지원할 수 있는 전략과 방안을 강구 정외 1801 사회계약론연구 (Colloquium on Social Contract) 사회계약에 관한 사상은 “현실의 학문”이라는 측면에서의 정치학을 한 단계 발전시켰다. 본 강좌는 계약, 사회 계약, 지배계약, 이 세 가지 용어의 사상사적 고찰을 통해, 이러한 사회계약론이 갖는 정치적 의미를 정확히 파악 정외 1802 현대비판이론 (Contemporary Critical Theories) 프랑크푸르트 학파 이후 많은 이론들은 산업사회와 후기 산업사회의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있다. 그 중 특히 산업사회와 후기 산업사회의 구조적 산물인 환경문제를 다루는 “환경사상”은 현대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본 강좌는 이러한 “환경사상”을 중심으로, 환경과 현재의 정치구조에 대한 문제를 논의, 그 이해를 증진 정외 1811 비교정치세미나 (Seminar in Comparative Politics) 비교정치학 영역에서 특정의 주제를 선정하여 이를 심층적으로 토론 및 연구 정외 1812 정치커뮤니케이션 (Political Communication) 민주화 및 시민사회의 활성화에 따라 중요한 영역으로 부각되고 있는 정치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이론을 검토 정외 1821 국제정치세미나 (Seminar on International Politics) 현대 국제정치는 힘에 의존하는 국제정치와 교역에 의존하는 상호의존론적 국제정치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본 강좌에서는 힘에 의존하는 국제정치 이른바 힘의 균형의 유형과 집단안전보장의 유형 그리고 힘의 독점형을 연구하며, 상호의존론적 국제정치에서는 국제 정치·경제관계를 연구하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이론의 틀을 제시하면서 현재의 국제환경에서 나타나고 있는 사례를 중심으로 토의 정외 1822 한국정치발전론 (Political Development in Korea) 한국정치를 이승만 정부에서부터 노무현 정부에 이르기까지를 제도의 민주화와 국정의 효율성 측면으로 나누어서 각 정부별로 비교, 분석 해보는 것이 본 과목의 목적임. 정외 1823 유럽연합정치연구 (The of European Union Politics) 유럽연합 정치기구와 유럽연합의 통합과정을 설명하는 제반 이론에 대한 논의가 본 과정의 주된 목적임. 이를 위해 유럽 이사회,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의회, 사법 재판소 등 다양한 유럽연합 내의 기구들의 생성 및 발전 과정에 대한 고찰을 할 뿐만 아니라 신제도주의, 신기능주의, 자유주의적 정부관계주의 이론 등 다양한 제반이론을 심도 있게 연구함. 정외 1824 유럽연합경제정책 (The Economic Policies of The EU) 유럽연합이 경제통합체란 명칭에 걸맞게 유럽연합 통치(governance)의 실제 축이 되는 다양한 정책의 기원과 현재 주소를 고찰함. 이를 위해 공동농업정책, 무역정책, 단일통화, 유럽단일시장 등과 같은 경제적 정책에 대한 고찰뿐만 아니라 공동외교안보 정책 등과 같은 비 경제적 정책에 대한 폭넓은 시각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함. 정외 1825 북한핵정치와 동북아평화 (North Korean Nuke Politics and Peace-making in North Eastern) 북한의 핵개발이 북한의 국내정치와 국제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특히 북한핵정치가 한반도 및 동북아의 평화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연구하고, 한반도평화와 동북아평화를 위해 한국의 대응전략 및 적실성 높은 대북정책을 개발하는데 목표를 둔다. 정치 1772 현대한국정치사 (Contemporary Korean Political History) 해방 이후 최근까지 분단과 근대화 추진 속의 현대한국정치에 대한 사적 고찰 및 연구 정치 1773 한국정치문화와 정치 사회화연구 (Study on Political Culture and Political Socialization in Korea) 한국의 정치문화 및 정치사회화 과정에 대한 경험적 조사를 중심으로 주요 특질을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