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학과
학과소개
- 교과과목
-
역사연구방법에 관한 제이론을 검토하고 실습을 통해 논문 작성법을 익힌다.한국고대의 성립과 발전을 관련사료와 이에 대한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고대의 정치·경제·사회의 여러 가지 특성을 중국과 일본측 사료와 그에 관한 논저를 중심으로 주요 학설과 방법론을 연구 논의한다.한국에 있어서 중세의 성격을 논의하고 그 단계로 설정하고 있는 고려시대의 역사발전을 기존의 연구업적과 주요 학설을 중심으로 검토한다.조선시대의 역사과정을 논하되, 기존의 연구업적에 대한 분석 및 평가를 시도하고 관계 사료를 검토한다.1910년 이후 일제 식민지 시기와 8·15해방 전후의 중요한 정치·사회·경제 변천 등을 주요 사료를 통해서 검증해 본다.中國·印度 등 東洋古代國家의 形成過程에 따른 諸家의 學說을 中心으로 史料와 論著를 硏究分析한다.東洋中世의 政治·經濟·社會·文化的 特性과 所謂 華夷關係의 變化와 文化 經濟의 南北交流現狀을 살핀다.東洋에서 政治·經濟·社會·文化의 轉換點이 되는 이시기의 歷史過程을 硏究한 諸家說을 分析評價한다.西勢東漸期의 急變하는 Asia各國의 變貌하는 樣態를 硏究하고 기왕의 硏究成果를 토대로 主要論點事項을 재검토한다.고대그리스, 로마 및 이집트 등 서양고대국가의 흥망성쇠를 배우고 여러 학자들의 학설을 중심으로 사료와 저서를 연구 분석한다.봉건제도와 장원제로 대변되는 서양중세의 역사에 관한 여러 가지 다양한 학설들을 사료를 통하여 비판 분석한다.16세기 이후 유럽사회의 변화를 정치, 사회, 문화 전반을 통하여 확인하고 여러 논저의 학설을 파악하여 비교 분석한다.19세기와 20세기의 역사를 제국주의 성립에서 냉전과 탈냉전시기까지 분석하여 여러 이론을 비판하고 논저를 통하여 이해한다.한국 고대의 성립과 발전을 관련 사료와 이에 대한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고대의 정치·경제·사회의 여러 가지 특성을 살핀다.한국 중세의 정치제도·사상·사회사 등 학계에서 논쟁되어지는 제반 문제들을 기존의 연구성과와 이에 관련된 사료를 살핌으로써 이를 이해한다.조선시대의 역사적 성격을 이해하기 위하여 그 권력구조, 사회신분의 성격, 토지제도 등을 분석 종합한다.한국의 근대사회가 성립되는 과정에서 사회구성체의 발전, 제국주의 세력의 침탈과 민족의 저항 등을 중심으로 검토한다.고대국가의 성립시기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의 역사를 중국과 일본측 사료와 그에 관한 논저를 중심으로 주요 학설과 방법론을 연구한다.한국에 있어서 중세의 성격을 논의하고 그 단계로 설정하고 있는 고려시대의 역사발전을 기존의 연구업적과 주요학설을 검토한다.조선시대의 역사과정을 논하되, 기존의 연구업적에 대한 분석 및 평가를 시도하고 관계사료를 검토한다.1910년 이후 일제 식민지 시기와 8·15해방 전후의 중요한 과제를 선택하여 체계적으로 고찰한다.고대에서 근대까지 이루어지는 한국사상의 성격을 살펴봄으로써 한국민의 기층을 이루는 사상을 이해한다.한국의 사회신분구조의 변화와 사회기반이 된 경제제도와 그 체계를 연관성 있게 검토한다.한국 역사학이 발달된 경위와 사학정신 및 그 이론 등을 역사적으로 연구하여 구명한다.중요 사서 및 문집, 필기류 등의 대표적인 전적을 시대별로 나누어 연구한다.한국 미술의 전반에 걸친 사적 변천 양상을 분석 연구함으로써 우리 민족 고유의 조형성을 파악한다.일제 침략 하에 있어서 독립운동의 추이를 사회적, 사상적 측면에서 살핀다.고고학의 연구방법과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대상을 파악하여, 한국민족의 문화시원을 그 동안의 발굴 성과를 살핌으로써 추출해 낸다.한국역사발전과정에서 보이고 있는 대외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사의 자주성을 규명해 본다.한국 금석문의 연구를 통하여 한국사의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는 고대 중세의 실상을 파악한다.고문서는 교지, 토지문서, 호적, 노비문서를 포함한 역사연구의 일차적인 자료이다. 본 과목에서는 고문서의 변천과정과 서식 및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당시 사회의 성격을 조명하고, 이를 역사연구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우리나라의 기독교 교회가 어떻게 성립되고 발전하였는지를 통하여 한국 기독교 사상의 변천과 근현대의 사상적 영향 및 변용에 대하여 연구한다.우리나라의 만주와 간도지역의 진출에 대한 역사를 연구하고 특히 조선시대 북방진출에 대해 사료와 저서를 통하여 확인하다.그간 발굴된 유물과 유적을 중심으로 한국 선사시대의 성격을 재조명하고, 또 三國 이후 출토되고 있는 유물 유적에 대하여는 문헌자료와 연계하여 그 성격을 파악한다. 특히 본 과목에서는 발굴방법과 유물 보존처리에 대한 선진국 학계의 기술적 방법을 습득하고, 아울러 한국 고고학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모색한다.한국 민족의 형성과정을 인류학적 측면과 문화적 측면을 고려하여 살펴본다.한국의 고대에서 근대까지의 정치제도의 형식과 성격을 당시의 사상과 연결시켜 살펴보고, 중국의 제도와 비교 검토하여 그 특성을 살핀다.三史를 통하여 中國古代世界의 政治·社會·經濟·文化의 重要主題를 中心으로 時代相의 一斷面을 살핀다.新舊唐書 及 新舊五代史의 비교 硏究를 通하여 東洋中世史를 理解토록 한다.中國長江一帶의 社會經濟적 變革을 살펴보고 가족제도·토지제도·농업생산 등을 고찰한다.東洋現代史에서 主要事件別(辛亥革命·明治維新·阿片戰爭 등등)로 硏究成果를 살펴보고 硏究上의 問題點과 硏究해야할 分野를 檢討한다.史書를 中心으로 스스로 主題를 찾아서 2차 정도 發表와 討論을 거쳐서 報告書를 제출한다.農耕民族(華族)과 遊牧民族(夷族)의 胡漢一體의 政治·經濟·社會·文化 등의 特色을 比較 硏究한다.明淸時代의 文集中心으로 한 硏究報告書와 기왕의 학술논문을 망라한 學說을 分析한 報告書를 發表·討論한다.Asia 現代史 史料를 提示하고 學生들이 各者 分野를 擇하여 史料를 精讀하고 報告書를 作成하여 發表하고 討論한다.중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하여 사상계의 발전과 중요 사상체계를 시대와 지역으로 구분하여 연구한다.주로 중국의 경제체계와 사회제도를 시대의 변천과 연관하여 중요 영역별로 연구하여 발표한다.중국의 역사서술 형식과 사관의 역사서술 태도 등을 포괄적으로 연구 분석한다.중국의 중요 사서 및 문집, 필기류 등 대표적인 전적을 시대별로 나누어 연구한다.고대 이후 근대까지 동양 미술의 특징을 분석 연구함으로써 미술변화의 사회사적 이해를 구명한다.日本史·印度史·越南史·泰國史·Aranb諸國史, 등을 매년 번갈아서 강의한다.유목사회의 기본 형태와 각 민족에 따른 특수 생활 형태와 구조 등을 연구한다.고대부터 현대까지 해륙을 통한 시절의 왕래와 무역을 통한 교류문제를 연구한다.역사시대 중국, 한국, 일본간의 상호문화 교류와 정치적 영향을 비교사적인 관점에서 연구 토론한다. 특히 근대 이전 소위 중화 질서가 어떻게 전개되고 있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본다.역사 변화의 중요한 동인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인구가 중국에서는 각 시대별로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의 문제와 그러한 인구 변화가 사회 생산력 발달과는 어떻게 맞물려 있었는지를 연구한다.고대 정전제 이후 점전제, 과전제, 균전제가 가지는 특성을 특히 경제 변화와 상관시켜 살펴본다. 또한 송대 이후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한 지주전호제가 각 시대별로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를 아울러 고찰한다.儒·佛·道 三敎를 기본 바탕으로 생성된 東洋文化의 本質과 西洋文化와의 비교를 통하여 文化의 生成과 消滅 등 因果를 比較分析한다.東洋史上 重要問題, 특히 爭論이 되었던 問題를 再照明해 본다.中國의 中心이 아닌 所謂 邊境地域(滿洲·蒙古·新彊·昆明(雲南)·臺灣 등)硏究한다.東洋에서도 특히 中國大陸에 있어서 社會變遷上을 살펴본다.고대그리스, 로마 및 이집트 등 서양고대국가의 역사를 사료를 통하여 심층적으로 토론하고 분석한다.봉건제도와 장원제로 대변되는 서양 중세의 역사를 사료를 통하여 심층적으로 토론하고 분석한다.16세기 이후 유럽사회의 변화를 정치, 사회, 문화 전반을 통하여 확인하고 사료를 통하여 심층적으로 토론하고 분석한다.19세기와 20세기의 역사를 제국주의 성립에서 냉전과 탈냉전시기의역사를 사료를 통하여 심층적으로 토론하고 분석한다.고대그리스, 로마 및 이집트 등 서양고대국가의 역사를 배우고 하나의 주제를 잡아 소논문을 작성하고 발표 토론한다.봉건제도와 장원제로 대변되는 서양 중세의 역사를 배우고 하나의 주제를 잡아 소논문을 작성하고 발표 토론한다.16세기 이후 유럽사회의 변화를 배우고 하나의 주제를 잡아 소논문을 작성하고 발표 토론한다.19세기와 20세기의 역사를 제국주의 성립에서 냉전과 탈냉전시기의 역사를 배우고 하나의 주제를 잡아 소논문을 작성하고 발표 토론한다.고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서양의 지적 전통과 사상을 시대적으로 구분하여 연구한다.유럽 중심의 서양 사회와 경제를 중심으로 한 사회경제 발달사를 연구한다.서양 역사학의 기원과 각 시대별로 역사서술의 변천 과정을 연구 논의한다.서양의 중요 사서 및 문집, 필기류 등 대표적인 전적을 시대별로 나누어 연구한다.고대 이후 근대까지 서양미술사의 흐름과 그 동향을 연구 분석한다.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 서양의 근대 국가들의 성립과 발전에 대하여 저서를 통하여 학습하고 주제를 잡아 연구 토론한다.고대 그리스와 로마제국의 번영, 사회 경제적 특징, 제국의 정치적 위기 등을 연구한다.동로마 제국의 번영, 사회 경제적 특징, 제국의 정치적 위기 등을 연구한다.중세 교회 세력의 발전과정, 황제권과의 위기, 교권확립의 이론적 배경, 십자군전쟁과 교권의 확대, 교회가 중세인들에게 미친 사회경제적 영향 등을 연구한다.유럽 중세의 봉건제도의 사회, 경제, 정치적 형성과 특징, 소멸과정을 살펴본다.유럽 중세사회 붕괴의 결정적 역할을 한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을 연구하여 근대사회로 어떻게 발전할 수 있었는지를 살펴본다.서양 근대 시민혁명을 중심으로 서양의 시민사회가 어떻게 형성되었고 현대사회의 영향은 무엇인지 비판하고 연구해 본다.영국의 청교도혁명과 명예대혁명, 프랑스대혁명, 미국의 독립혁명, 러시아혁명, 1800년대 서구 유럽의 혁명 등을 그 원인과 과정 및 결과를 중심으로 연구한다.서양근현대 역사를 관통하는 사상인 제국주의와 민족주의에 대하여 연구하고 제국주의와 민족주의의 영향이 어떠했는지 비판해 본다.나폴레옹 몰락 이후 빈체제, 1870년대의 독일과 이탈리아의 통일, 제국주의의 흥기, 베르사이유체제 및 2차 세계대전 이후의 냉전 체제를 제국가 간의 대립과 협력 등을 통하여 연구한다.고대사 연구 방법론의 주요한 특성이라 할 수 있는 고고학적 성과의 원용, 사료에 대한 비판, 여러 사료들에 대한 소개와 아울러 사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인접학문의 연구성과도 아울러 소개한다.중세사 연구에 필요한 중요 사료와 주요 연구 업적을 소개한다. 특히 중세사를 둘러싸고 전개된 시대 구분론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고려사의 중세적 특징을 규명할 수 있도록 한다.이전시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사료가 풍부한 근대의 여러 사료의 소개와 아울러 동양의 근대와 서양의 근대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토론한다.현대사에 대한 개념 정으로부터 출발하여 사료의 폭을 어느 시점에서 확정할 것인가의 문제를 검토한다. 또한 현대가 가지는 다양성으로 인하여 사료의 종류가 매우 확대될 수 있다면 적절한 사료의 선택이 무엇인지를 연구한다.박사논문이 지녀야 할 일반적인 조건과 기존연구성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입장에서 사실을 재조명한다.고대사 연구 방법론의 주요한 특성이라 할 수 있는 고고학적 성과의 원용, 사료에 대한 비판, 여러 사료들에 대한 소개와 아울러 사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인접학문의 연구성과도 아울러 소개한다.중세사 연구에 필요한 중요사료와 중요 연구 업적을 소개한다. 특히 중세사를 둘러싸고 전개된 시대구분론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동아시아의 중세의 특징을 규명할 수 있도록 한다.이전 시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사료가 풍부한 근대의 여러 사료의 소개와 아울러 동양의 근대와 서양의 근대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토론한다. 또한 기존의 연구사 정리를 병행한다.현대사의 중요한 사건들을 연구한다.박사 논문이 지녀야 할 일반적인 조건과 아울러 사료의 적절한 선택, 그것의 정확한 해석, 연대와 사건의 정확한 배치가 잘 조화되었는지를 살펴본다. 또한 논문으로서 갖추어야 할 새로움이 있는지에 대한 토론도 병행한다.고대 그리스와 로마사의 효율적인 연구를 위한 원사료의 해독과 사학사적인 지식의 습득을 목적으로 한다.서양 중세사의 연구를 위한 원사료의 해독과 사학사적인 흐름을 연구한다.원사료의 이해를 통해 서양 근대사의 사학사적인 흐름을 연구한다.현대사의 중요한 주제를 대상으로 사학사적인 흐름을 연구한다.박사학위 취득을 위한 지도교수와 개별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교과코드 교과목명(국문) 교과목명(영문) 학점 과목개요 1501 역사연구방법론 (Methods of Historical Research and Writing) 역사연구방법에 관한 제이론을 검토하고 실습을 통해 논문 작성법을 익힌다. 1601 한국고대사연구 (Studies in Ancint History of Korea) 한국고대의 성립과 발전을 관련사료와 이에 대한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고대의 정치·경제·사회의 여러 가지 특성을 중국과 일본측 사료와 그에 관한 논저를 중심으로 주요 학설과 방법론을 연구 논의한다. 1602 한국중세사연구 (Studies in Mediaeval History of Korea) 한국에 있어서 중세의 성격을 논의하고 그 단계로 설정하고 있는 고려시대의 역사발전을 기존의 연구업적과 주요 학설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1603 한국근대사연구 (Studies in Modern History of Korea) 조선시대의 역사과정을 논하되, 기존의 연구업적에 대한 분석 및 평가를 시도하고 관계 사료를 검토한다. 1604 한국현대사연구 (Studies in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1910년 이후 일제 식민지 시기와 8·15해방 전후의 중요한 정치·사회·경제 변천 등을 주요 사료를 통해서 검증해 본다. 1631 동양고대사연구 (Studies in Ancient History of Asia) 中國·印度 등 東洋古代國家의 形成過程에 따른 諸家의 學說을 中心으로 史料와 論著를 硏究分析한다. 1632 동양중세사연구 (Studies in Mediaeval History of Asia) 東洋中世의 政治·經濟·社會·文化的 特性과 所謂 華夷關係의 變化와 文化 經濟의 南北交流現狀을 살핀다. 1633 동양근대사연구 (Studies in Modern History of Asia) 東洋에서 政治·經濟·社會·文化의 轉換點이 되는 이시기의 歷史過程을 硏究한 諸家說을 分析評價한다. 1634 동양현대사연구 (Studies in Contemporary History of Asia) 西勢東漸期의 急變하는 Asia各國의 變貌하는 樣態를 硏究하고 기왕의 硏究成果를 토대로 主要論點事項을 재검토한다. 1661 서양고대사연구 (Studies in Ancient History of the West) 고대그리스, 로마 및 이집트 등 서양고대국가의 흥망성쇠를 배우고 여러 학자들의 학설을 중심으로 사료와 저서를 연구 분석한다. 1662 서양중세사연구 (Studies in Mediaeval History of the West) 봉건제도와 장원제로 대변되는 서양중세의 역사에 관한 여러 가지 다양한 학설들을 사료를 통하여 비판 분석한다. 1663 서양근대사연구 (Studies in Modern History of the West) 16세기 이후 유럽사회의 변화를 정치, 사회, 문화 전반을 통하여 확인하고 여러 논저의 학설을 파악하여 비교 분석한다. 1664 서양현대사연구 (Studies in Contemporary History of the West) 19세기와 20세기의 역사를 제국주의 성립에서 냉전과 탈냉전시기까지 분석하여 여러 이론을 비판하고 논저를 통하여 이해한다. 1701 한국고대사특강 (Topics o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한국 고대의 성립과 발전을 관련 사료와 이에 대한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고대의 정치·경제·사회의 여러 가지 특성을 살핀다. 1702 한국중세사특강 (Topics on the Medieval History of Korea) 한국 중세의 정치제도·사상·사회사 등 학계에서 논쟁되어지는 제반 문제들을 기존의 연구성과와 이에 관련된 사료를 살핌으로써 이를 이해한다. 1703 한국근대사특강 (Topics o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조선시대의 역사적 성격을 이해하기 위하여 그 권력구조, 사회신분의 성격, 토지제도 등을 분석 종합한다. 1704 한국현대사특강 (Topics on the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한국의 근대사회가 성립되는 과정에서 사회구성체의 발전, 제국주의 세력의 침탈과 민족의 저항 등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1705 한국고대사연습 (Seminar o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고대국가의 성립시기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의 역사를 중국과 일본측 사료와 그에 관한 논저를 중심으로 주요 학설과 방법론을 연구한다. 1706 한국중세사연습 (Seminar on the Medieval History of Korea) 한국에 있어서 중세의 성격을 논의하고 그 단계로 설정하고 있는 고려시대의 역사발전을 기존의 연구업적과 주요학설을 검토한다. 1707 한국근대사연습 (Seminar o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조선시대의 역사과정을 논하되, 기존의 연구업적에 대한 분석 및 평가를 시도하고 관계사료를 검토한다. 1708 한국현대사연습 (Seminar on the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1910년 이후 일제 식민지 시기와 8·15해방 전후의 중요한 과제를 선택하여 체계적으로 고찰한다. 1709 한국사상사연구 (Studies on Korean Intellectual History) 고대에서 근대까지 이루어지는 한국사상의 성격을 살펴봄으로써 한국민의 기층을 이루는 사상을 이해한다. 1710 한국사회경제사연구 (Studies on Social and Economic History of Korea) 한국의 사회신분구조의 변화와 사회기반이 된 경제제도와 그 체계를 연관성 있게 검토한다. 1711 한국사학사연구 (Studies on Korean Historiography) 한국 역사학이 발달된 경위와 사학정신 및 그 이론 등을 역사적으로 연구하여 구명한다. 1712 한국의 사적연구 (Studies on Korean Historical Books and Document) 중요 사서 및 문집, 필기류 등의 대표적인 전적을 시대별로 나누어 연구한다. 1713 한국미술사특강 (Topics on the History of Korea Arts) 한국 미술의 전반에 걸친 사적 변천 양상을 분석 연구함으로써 우리 민족 고유의 조형성을 파악한다. 1714 한국독립운동사연구 (Studies on the Independence Movements of Korea) 일제 침략 하에 있어서 독립운동의 추이를 사회적, 사상적 측면에서 살핀다. 1715 한국고고학연구 (Studies on Archaeology of Korea) 고고학의 연구방법과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대상을 파악하여, 한국민족의 문화시원을 그 동안의 발굴 성과를 살핌으로써 추출해 낸다. 1716 한국대외관계사연구 (Studies in History of Korea Foreign Relations) 한국역사발전과정에서 보이고 있는 대외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사의 자주성을 규명해 본다. 1717 한국금석문연구 (Studies in Korea Epigraphy) 한국 금석문의 연구를 통하여 한국사의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는 고대 중세의 실상을 파악한다. 1718 한국고문서연구 고문서는 교지, 토지문서, 호적, 노비문서를 포함한 역사연구의 일차적인 자료이다. 본 과목에서는 고문서의 변천과정과 서식 및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당시 사회의 성격을 조명하고, 이를 역사연구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1719 한국기독교회사연구(Studies on the Church History of Korea) 우리나라의 기독교 교회가 어떻게 성립되고 발전하였는지를 통하여 한국 기독교 사상의 변천과 근현대의 사상적 영향 및 변용에 대하여 연구한다. 1720 한국북방개척사연구(Studies on the Northern Territories History of Korea) 우리나라의 만주와 간도지역의 진출에 대한 역사를 연구하고 특히 조선시대 북방진출에 대해 사료와 저서를 통하여 확인하다. 1721 한국고고학특강 그간 발굴된 유물과 유적을 중심으로 한국 선사시대의 성격을 재조명하고, 또 三國 이후 출토되고 있는 유물 유적에 대하여는 문헌자료와 연계하여 그 성격을 파악한다. 특히 본 과목에서는 발굴방법과 유물 보존처리에 대한 선진국 학계의 기술적 방법을 습득하고, 아울러 한국 고고학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모색한다. 1722 한국민족기원론 (Origin of Korea People) 한국 민족의 형성과정을 인류학적 측면과 문화적 측면을 고려하여 살펴본다. 1723 한국정치제도사연구 (Studies on the History of Korea Political Institutions) 한국의 고대에서 근대까지의 정치제도의 형식과 성격을 당시의 사상과 연결시켜 살펴보고, 중국의 제도와 비교 검토하여 그 특성을 살핀다. 1731 동양고대사특강 (Topics on the Ancient History of Asia) 三史를 통하여 中國古代世界의 政治·社會·經濟·文化의 重要主題를 中心으로 時代相의 一斷面을 살핀다. 1732 동양중세사특강 (Topics on the Mediaeval History of Asia) 新舊唐書 及 新舊五代史의 비교 硏究를 通하여 東洋中世史를 理解토록 한다. 1733 동양근대사특강 (Topics on the Modern History of Asia) 中國長江一帶의 社會經濟적 變革을 살펴보고 가족제도·토지제도·농업생산 등을 고찰한다. 1734 동양현대사특강 (Topecs on the Contemporary History of Asia) 東洋現代史에서 主要事件別(辛亥革命·明治維新·阿片戰爭 등등)로 硏究成果를 살펴보고 硏究上의 問題點과 硏究해야할 分野를 檢討한다. 1735 동양고대사연습 (Seminar on the Ancient History of Asia) 史書를 中心으로 스스로 主題를 찾아서 2차 정도 發表와 討論을 거쳐서 報告書를 제출한다. 1736 동양중세사연습 (Seminar on the Mediaeval History of Asia) 農耕民族(華族)과 遊牧民族(夷族)의 胡漢一體의 政治·經濟·社會·文化 등의 特色을 比較 硏究한다. 1737 동양근대사연습 (Seminar on the Modern History of Asia) 明淸時代의 文集中心으로 한 硏究報告書와 기왕의 학술논문을 망라한 學說을 分析한 報告書를 發表·討論한다. 1738 동양현대사연습 (Seminar on the Contemporary of Asia) Asia 現代史 史料를 提示하고 學生들이 各者 分野를 擇하여 史料를 精讀하고 報告書를 作成하여 發表하고 討論한다. 1739 동양사상사연구 (Studies on the History of Asian Thoughts) 중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하여 사상계의 발전과 중요 사상체계를 시대와 지역으로 구분하여 연구한다. 1740 동양사회경제사연구 (Studies Social and Economic History of Asia) 주로 중국의 경제체계와 사회제도를 시대의 변천과 연관하여 중요 영역별로 연구하여 발표한다. 1741 동양사학사연구 (Studies on Asian Historiography) 중국의 역사서술 형식과 사관의 역사서술 태도 등을 포괄적으로 연구 분석한다. 1742 동양의 사적연구 (Studies on Asian Historical Books and Document) 중국의 중요 사서 및 문집, 필기류 등 대표적인 전적을 시대별로 나누어 연구한다. 1743 동양미술사특강 (Topics on the History of Asia Arts) 고대 이후 근대까지 동양 미술의 특징을 분석 연구함으로써 미술변화의 사회사적 이해를 구명한다. 1744 동양각국사연구 日本史·印度史·越南史·泰國史·Aranb諸國史, 등을 매년 번갈아서 강의한다. 1745 유목민족사연구 (Studies on Nomd History) 유목사회의 기본 형태와 각 민족에 따른 특수 생활 형태와 구조 등을 연구한다. 1746 동서교섭사연구 (Studi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sia and Europe) 고대부터 현대까지 해륙을 통한 시절의 왕래와 무역을 통한 교류문제를 연구한다. 1747 동아시아국제관계사연구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East Asia) 역사시대 중국, 한국, 일본간의 상호문화 교류와 정치적 영향을 비교사적인 관점에서 연구 토론한다. 특히 근대 이전 소위 중화 질서가 어떻게 전개되고 있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1748 중국인구사 (History of Chinese Demography) 역사 변화의 중요한 동인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인구가 중국에서는 각 시대별로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의 문제와 그러한 인구 변화가 사회 생산력 발달과는 어떻게 맞물려 있었는지를 연구한다. 1749 중국토지제도사연구 (History of Land System in China) 고대 정전제 이후 점전제, 과전제, 균전제가 가지는 특성을 특히 경제 변화와 상관시켜 살펴본다. 또한 송대 이후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한 지주전호제가 각 시대별로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를 아울러 고찰한다. 1750 동양문화론 儒·佛·道 三敎를 기본 바탕으로 생성된 東洋文化의 本質과 西洋文化와의 비교를 통하여 文化의 生成과 消滅 등 因果를 比較分析한다. 1751 동양사의 제문제 東洋史上 重要問題, 특히 爭論이 되었던 問題를 再照明해 본다. 1752 중국의 지역사연구 中國의 中心이 아닌 所謂 邊境地域(滿洲·蒙古·新彊·昆明(雲南)·臺灣 등)硏究한다. 1753 동양사회사연구 東洋에서도 특히 中國大陸에 있어서 社會變遷上을 살펴본다. 1761 서양고대사특강 (Topics on the Ancient History of the West) 고대그리스, 로마 및 이집트 등 서양고대국가의 역사를 사료를 통하여 심층적으로 토론하고 분석한다. 1762 서양중세사특강 (Topics on the Mediaeval History of the West) 봉건제도와 장원제로 대변되는 서양 중세의 역사를 사료를 통하여 심층적으로 토론하고 분석한다. 1763 서양근대사특강 (Topics on the Modern History of the West) 16세기 이후 유럽사회의 변화를 정치, 사회, 문화 전반을 통하여 확인하고 사료를 통하여 심층적으로 토론하고 분석한다. 1764 서양현대사특강 (Topics on the Contemporary History of the West) 19세기와 20세기의 역사를 제국주의 성립에서 냉전과 탈냉전시기의역사를 사료를 통하여 심층적으로 토론하고 분석한다. 1765 서양고대사연습 (Seminar on the Ancient History of the West) 고대그리스, 로마 및 이집트 등 서양고대국가의 역사를 배우고 하나의 주제를 잡아 소논문을 작성하고 발표 토론한다. 1766 서양중세사연습 (Seminar on the Mediaeval History of the West) 봉건제도와 장원제로 대변되는 서양 중세의 역사를 배우고 하나의 주제를 잡아 소논문을 작성하고 발표 토론한다. 1767 서양근대사연습 (Seminar on the Modern History of the West) 16세기 이후 유럽사회의 변화를 배우고 하나의 주제를 잡아 소논문을 작성하고 발표 토론한다. 1768 서양현대사연습 (Seminar on the Contemporary History of the West) 19세기와 20세기의 역사를 제국주의 성립에서 냉전과 탈냉전시기의 역사를 배우고 하나의 주제를 잡아 소논문을 작성하고 발표 토론한다. 1769 서양사상사연구 (Studies on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e West)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서양의 지적 전통과 사상을 시대적으로 구분하여 연구한다. 1770 서양사회경제사연구 (Studies Social and Economic History of Europe) 유럽 중심의 서양 사회와 경제를 중심으로 한 사회경제 발달사를 연구한다. 1771 서양사학사연구 (Studies on European Historiography) 서양 역사학의 기원과 각 시대별로 역사서술의 변천 과정을 연구 논의한다. 1772 서양의 사적연구 (Studies on European Historical Books and Document) 서양의 중요 사서 및 문집, 필기류 등 대표적인 전적을 시대별로 나누어 연구한다. 1773 서양미술사특강 (Topics on the History of Europe Arts) 고대 이후 근대까지 서양미술사의 흐름과 그 동향을 연구 분석한다. 1774 서양각국사연구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 서양의 근대 국가들의 성립과 발전에 대하여 저서를 통하여 학습하고 주제를 잡아 연구 토론한다. 1775 그리스·로마사 연구 (Studies in Greek-Roman History) 고대 그리스와 로마제국의 번영, 사회 경제적 특징, 제국의 정치적 위기 등을 연구한다. 1776 비잔틴제국연구 (Studies in Byzantine History) 동로마 제국의 번영, 사회 경제적 특징, 제국의 정치적 위기 등을 연구한다. 1777 서양중세교회연구 (Studies in Medieval Theology) 중세 교회 세력의 발전과정, 황제권과의 위기, 교권확립의 이론적 배경, 십자군전쟁과 교권의 확대, 교회가 중세인들에게 미친 사회경제적 영향 등을 연구한다. 1778 서양중세봉건제도연구 (Studies in Western Feudalism) 유럽 중세의 봉건제도의 사회, 경제, 정치적 형성과 특징, 소멸과정을 살펴본다. 1779 르네상스 · 종교개혁연구(Studies in Renaissance-Reformation) 유럽 중세사회 붕괴의 결정적 역할을 한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을 연구하여 근대사회로 어떻게 발전할 수 있었는지를 살펴본다. 1780 서양시민사회연구 (Studies in Western Civil Society) 서양 근대 시민혁명을 중심으로 서양의 시민사회가 어떻게 형성되었고 현대사회의 영향은 무엇인지 비판하고 연구해 본다. 1781 서양혁명사연구 (Studies in Western Revolutions) 영국의 청교도혁명과 명예대혁명, 프랑스대혁명, 미국의 독립혁명, 러시아혁명, 1800년대 서구 유럽의 혁명 등을 그 원인과 과정 및 결과를 중심으로 연구한다. 1782 제국주의와 민족주의(Studies in Imperialism-Nationalism) 서양근현대 역사를 관통하는 사상인 제국주의와 민족주의에 대하여 연구하고 제국주의와 민족주의의 영향이 어떠했는지 비판해 본다. 1783 서양국제관계사연구 (International Relations in Modern Europe) 나폴레옹 몰락 이후 빈체제, 1870년대의 독일과 이탈리아의 통일, 제국주의의 흥기, 베르사이유체제 및 2차 세계대전 이후의 냉전 체제를 제국가 간의 대립과 협력 등을 통하여 연구한다. 1801 한국고대사연구방법 (Perspective in Ancient History of the Korea) 고대사 연구 방법론의 주요한 특성이라 할 수 있는 고고학적 성과의 원용, 사료에 대한 비판, 여러 사료들에 대한 소개와 아울러 사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인접학문의 연구성과도 아울러 소개한다. 1802 한국중세사연구방법 (Perspective in Medieval History of the Korea) 중세사 연구에 필요한 중요 사료와 주요 연구 업적을 소개한다. 특히 중세사를 둘러싸고 전개된 시대 구분론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고려사의 중세적 특징을 규명할 수 있도록 한다. 1803 한국근대사연구방법 (Perspective in Modern History of the Korea) 이전시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사료가 풍부한 근대의 여러 사료의 소개와 아울러 동양의 근대와 서양의 근대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토론한다. 1804 한국현대사연구방법(Perspective in Contemporary History of the Korea) 현대사에 대한 개념 정으로부터 출발하여 사료의 폭을 어느 시점에서 확정할 것인가의 문제를 검토한다. 또한 현대가 가지는 다양성으로 인하여 사료의 종류가 매우 확대될 수 있다면 적절한 사료의 선택이 무엇인지를 연구한다. 1805 한국사학위논문연구 (Research for the Doctoral Degree) 박사논문이 지녀야 할 일반적인 조건과 기존연구성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입장에서 사실을 재조명한다. 1831 동양고대사연구방법 (Perspective in Ancient History of the Asia) 고대사 연구 방법론의 주요한 특성이라 할 수 있는 고고학적 성과의 원용, 사료에 대한 비판, 여러 사료들에 대한 소개와 아울러 사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인접학문의 연구성과도 아울러 소개한다. 1832 동양중세사연구방법 (Perspective in Medieval History of the Asia) 중세사 연구에 필요한 중요사료와 중요 연구 업적을 소개한다. 특히 중세사를 둘러싸고 전개된 시대구분론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동아시아의 중세의 특징을 규명할 수 있도록 한다. 1833 동양근대사연구방법 (Perspective in Modern History of the Asia) 이전 시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사료가 풍부한 근대의 여러 사료의 소개와 아울러 동양의 근대와 서양의 근대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토론한다. 또한 기존의 연구사 정리를 병행한다. 1834 동양현대사연구방법 (Perspective in Contemporary History of the Asia) 현대사의 중요한 사건들을 연구한다. 1835 동양사학위논문연구 (Research for the Doctoral Degree) 박사 논문이 지녀야 할 일반적인 조건과 아울러 사료의 적절한 선택, 그것의 정확한 해석, 연대와 사건의 정확한 배치가 잘 조화되었는지를 살펴본다. 또한 논문으로서 갖추어야 할 새로움이 있는지에 대한 토론도 병행한다. 1861 서양고대사연구방법 (Perspective in Ancient History of the West) 고대 그리스와 로마사의 효율적인 연구를 위한 원사료의 해독과 사학사적인 지식의 습득을 목적으로 한다. 1862 서양중세사연구방법 (Perspective in Medieval History of the West) 서양 중세사의 연구를 위한 원사료의 해독과 사학사적인 흐름을 연구한다. 1863 서양근대사연구방법 (Perspective in Modern History of the West) 원사료의 이해를 통해 서양 근대사의 사학사적인 흐름을 연구한다. 1864 서양현대사연구방법 (Perspective in Contemporary History of the West) 현대사의 중요한 주제를 대상으로 사학사적인 흐름을 연구한다. 1865 서양사학위논문연구 (Research for the Doctoral Degree) 박사학위 취득을 위한 지도교수와 개별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